[이슈] 손가락 길이로 성욕과 성향 알 수 있나? 실험 결과 나왔다
작성자 정보
-
람보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7 조회
본문
[이슈] 손가락 길이로 성욕과 성향 알 수 있나? 실험 결과 나왔다
손가락 길이 비율이 성욕과 성향을 예측할 수 있다는 흥미로운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검지가 짧으면 성욕이 강하다? 쥐 실험 결과
일본 오카야마대 사카모토 히로타카 교수와 하야시 히메카 박사 연구팀은 최근 학술지 ‘실험동물(Experimental Animals)’에 발표한 연구에서, 쥐의 검지(2번째 발가락)와 약지(4번째 발가락) 길이 비율(2D:4D)이 성적 행동 및 성적 선호와 연관이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에 따르면 태아 시절 자궁 내에서 남성 호르몬(안드로겐)에 많이 노출된 쥐는 약지가 검지보다 길었고,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에 더 노출된 경우는 검지가 더 길었다. 평균적으로 남성은 약지가 더 길고, 여성은 검지가 비슷하거나 약간 더 긴 경우가 많다.
실제 실험 결과, 검지가 짧은 수컷 쥐는 발기 능력과 성욕이 더 높았으며, 짝짓기 환경에서도 적극적으로 성적 활동을 보였다. 또한 수컷·암컷 냄새가 배인 침구를 선택하게 했을 때 검지가 짧은 쥐들은 암컷 냄새가 밴 침구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며 뚜렷한 이성 선호를 나타냈다.
손가락 길이, 뇌 구조와 행동 경향 반영 가능성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단순히 성욕과 연결되는 것을 넘어, 태아기에 노출된 호르몬이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행동 경향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손가락 길이 비율이 뇌의 성적 취향, 성욕, 정서적 애착 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카모토 교수는 “손가락 관찰만으로도 개인의 행동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가능해질 수 있다”며 “이 비율은 자폐증, 우울증, 애착 장애 등 성별 차이가 두드러지는 질환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연구는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으로, 인간에게 직접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인간의 성적 행동은 생물학적 요인뿐 아니라 문화, 사회, 심리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운동 능력, 성격과의 연관 연구도 진행
이와 관련해 호주 남호주대와 미국 노스다코타대 연구팀도 과거 손가락 길이 비율과 운동 능력 및 성격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바 있다.
연구에 따르면 약지가 검지보다 긴 사람은 심폐 지구력이 높아 장거리 운동에서 성과가 좋을 가능성이 높고, 고강도 운동을 더 오래 견딜 수 있는 신체적 능력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운동능력이 높은 이들 중에는 반사회적 성향, 정신병적 경향, 약물 남용 위험이 높다는 결과도 있었다.
반면, 검지가 더 긴 사람은 공격성이 낮고 통증에 덜 견디는 경향이 있으며, 비만 위험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전문가 “연구 해석 신중해야”
일부 전문가들은 손가락 길이 비율과 태아기 호르몬 노출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 충분치 않으며, 인간 행동과 연결해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흥미롭게 참고하되, 단순히 손가락 길이만으로 성욕이나 성향을 판단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