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뷰] “한국 男×日 女, 국제커플 혁명! 한류+경제력 폭발로 ‘한일 결혼 급증’”
작성자 정보
-
람보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82 조회
본문
[프리뷰] “한국 男×日 女, 국제커플 혁명! 한류+경제력 폭발로 ‘한일 결혼 급증’”
2024년 통계, 충격적 증가율
– 지난해 한국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 건수는 1,176건으로, 전년 대비 40% 폭증. 이는 지난 10년간 최고치다
– 반대로 한국 여성과 일본 남성 간 결혼은 147건에 그쳐, 10년 전의 1/5 규모로 급감
–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일본-한국” 커플은 13% 증가한 반면, 중국·베트남·필리핀 등과의 국제결혼은 감소했다는 닛케이 보도도 있다
▶ 겉으론 로맨스, 속으론 경제·문화가 핵심
-
명목 GDP 역전·소득 격차 해소
한국은 2010년대 중반 이후 1인당 GDP가 일본을 추월했고, 특히 남성의 임금 수준이 일본 남성과 균등해진 점이 일본 여성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
한류 붐의 저력: ‘겨울연가’ 세대 효과
2003년 방영된 K-드라마 <겨울연가> 이후 일본 내 한국 문화 열풍이 세대를 넘어 급속히 확산됐다.-
웨딩업체 관계자: “한국 문화를 충분히 알고 결혼하는 일본 여성 많아”
-
SNS 확산까지 더해져 “사전 문화 친밀도”가 결혼 결정에 큰 역할을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
-
-
‘한국 향수’ 자발적 이주 러시
홍익대 오이카와 히로에 교수는,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 여성의 30~40%가 “한국 문화에 대한 동경과 인생의 보람”을 이유로 들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2019년 불매운동 당시엔 “95%의 일본 여성들이 불안감을 느꼈다”고 언급하며, 한일 외교·정치 안정 중요성도 강조했다 .
✅ 의미와 파장은?
국제결혼 증가, 출산에도 영향
– 2024년 한국의 출산율은 0.75, 9년 만에 소폭 반등했다
– 특히 국제결혼이 전체 결혼의 **10%**를 차지하며, “국제커플 증가 → 출산율 상승” 사이의 상관관계 주목되고 있다 .
‘민간 외교’로서 결혼의 기능
– 닛케이는 이 같은 흐름을 “민간 외교의 전선”이라며 정치·외교 관계 안정 없이는 지속되기 어렵다고 경고했다 .
✅ 총평
“한국 남성의 소득과 한국 문화에 대한 친밀감이 결합해 전에 없던 ‘한일 러브라인’이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불안정한 한일 관계나 양국 정치적 갈등은 이 흐름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안정적 협력과 이해 증진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전문가 의견을 덧붙인다.
✅ 요약
-
한국 男 × 日 女 커플, 2024년 10년 만에 최대치 기록
-
배경: 한류 지속, 한국 경제력 상승, 문화 친밀도 증가
-
의미: 국제결혼 증가가 출산율 소폭 회복에 기여 중
-
변수: 정치·외교 리스크가 민간 외교 역풍 부를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