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보티비 | 실시간 스포츠 중계, 무료 스포츠 중계

[이슈] 방글라데시 헬스장 절도범, ‘하드 트레이닝’으로 응징

작성자 정보

  • 람보티비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이슈] 방글라데시 헬스장 절도범, ‘하드 트레이닝’으로 응징

콕스 바자르 Power Gym Centre, 이례적 형벌 방식에 누리꾼 갑론을박



① 사건 개요

  • 6월 27일 정오, 헬스장 ‘Power Gym Centre’가 Jummah(금요 기도) 시간 동안 문을 닫은 사이, 절도범이 자물쇠를 부수고 내부 장비(배터리·케이블·IPS 등)를 훔쳤습니다. 이후 CCTV에 절도 장면이 고스란히 찍혔습니다

  • 7월 9일, 헬스장 회원들이 인근 시장에서 그를 발견해 인신보호 차원에서 헬스장으로 데려왔습니다 . 업주는 “폭력 금지”를 지시했습니다 .


② ‘하드 트레이닝’ 응징

  • 폭행 대신 회원들이 벤치프레스, 바벨 컬, 레그프레스, 스쿼트, 팔굽혀펴기 등 격렬한 운동을 시키며 ‘형벌 훈련’을 실행했습니다 .

  • 영상 속 그는 “더는 못하겠다”며 울음을 터뜨렸고, 3층 헬스장에서 뛰어내려 탈출하기도 했습니다 


③ 범죄 동기 및 반응

  • 업주 압둘라 알 마문은 절도범이 마약 중독자이며, 중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범행을 저질렀다고 밝혔습니다 .

  • 이 사건 영상은 SNS에서 100만 뷰 이상으로 급속 확산 중입니다 .


④ 사회적 논란

  • 한편 누리꾼의 반응은 극과 극입니다.

    • 창의적인 처벌이라는 긍정적 평가 (“굳 아이디어”, “정말 독특한 응징”)이 있는 반면,

    • 사적 제재 문제와 “민간인이 법을 집행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

  • 일부는 “의도는 나쁘지 않지만, 법적으로 보호되지 않는다”며 운동으로 인한 신체 위험(근육 손상·허리 부상 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


⑤ 법적·윤리적 쟁점

  • 이 사건은 사적 응징의 대표적 사례로 꼽히며,

  • 정당 보호를 넘어 민간인이 직접 형벌을 집행한 점에서, 법 절차 훼손개인의 신체 안전 문제를 동시에 제기하고 있습니다.



헬스장 회원들의 ‘운동 처벌’ 방식은 의도적으로 폭력을 배제한 참신한 사례지만, 신체적 위험과 법적 스킴의 부재는 분명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사적 제재의 한계와 적절한 처벌 방식에 대한 클리어한 기준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
알림 0